2019년 이상근 감독의 엑시트는 원인 불명의 유독가스가 도심에 퍼지며 벌어지는 탈출극을 그린 작품이다. 취업 실패와 가족 내 갈등으로 고단한 현실을 사는 청년 용남(조정석)이 옛 동아리 후배 의주(윤아)와 함께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재난 영화의 스릴과 청춘 코미디의 유쾌함을 절묘하게 결합하며 940만 관객을 돌파, 한국 영화에서 보기 드문 신선한 장르적 성취를 이루었다.
재난과 청춘을 결합한 독창적 시도
엑시트는 한국 영화사에서 드물게 재난 장르를 코미디적 요소와 결합해 성공을 거둔 사례로 꼽힌다. 대부분의 재난 영화는 무거운 톤과 파괴적 장면에 집중하지만, 엑시트는 현실적인 청춘의 좌절과 유머를 적절히 섞어내며 새로운 장르적 가능성을 제시했다. 주인공 용남은 사회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청년으로, 가족 모임에서조차 눈치를 보는 처지다. 그러나 재난이 닥쳤을 때 그는 자신의 약점이자 취미였던 암벽등반 능력을 발휘해 영웅적 인물로 성장한다. 서론부터 영화는 “인간은 위기 속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단순한 오락물이 아니라 청춘과 생존을 다룬 보편적 드라마로 확장된다. 특히 웃음과 눈물이 교차하는 정서적 톤은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낸다.
줄거리와 사건 전개
영화는 용남이 대학 시절 산악 동아리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했지만, 사회에 나온 뒤 취업에 실패하고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모습으로 시작된다. 가족 잔치에 참석한 그는 우연히 동아리 후배이자 호텔 연회장 부매니저로 일하는 의주와 재회한다. 그러나 잔치가 끝나갈 무렵, 도심 한복판에 원인 불명의 유독가스가 퍼지면서 상황은 급변한다. 순식간에 사람들은 목숨을 위협받고, 용남과 의주는 호텔 옥상으로 탈출한다. 영화는 이후 이들의 탈출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도시 곳곳을 뛰어넘고, 로프를 이용해 건물 사이를 건너며, 드론과 헬리콥터를 이용해 구조 신호를 보내는 등 숨 가쁜 장면이 이어진다. 두 사람은 반복되는 위기 속에서 서로를 신뢰하게 되고, 끝내 가족과 시민들을 구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한다. 결말은 단순한 영웅적 승리보다는, 좌절된 청춘들이 위기 속에서 발견한 가능성과 희망을 강조한다.
등장인물과 배우들의 연기
조정석은 용남 역을 맡아 특유의 코믹한 연기와 진지한 감정을 오가며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구현했다. 그는 무능하고 소심해 보이지만, 위기 순간에 발휘되는 결단력과 생존 본능을 사실적으로 보여주었다. 윤아는 의주 역으로 활약하며, 청순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를 완성했다. 그녀는 용남과 대등하게 위기를 돌파하는 인물로서 재난 영화의 전형적 여성 캐릭터를 뛰어넘었다. 또한 용남의 가족으로 등장하는 고두심, 박인환 등 중견 배우들은 현실적인 웃음과 따뜻함을 더해 영화의 몰입도를 높였다. 조정석과 윤아의 케미스트리는 영화의 핵심 동력으로, 관객에게 긴장과 유쾌함을 동시에 전달했다.
연출과 영화적 장치
이상근 감독은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연출력을 선보였다. 도심을 배경으로 한 재난 장면은 실제 촬영과 CG를 적절히 혼합해 리얼리티를 살렸고, 유독가스의 시각적 효과는 공포감을 극대화했다. 특히 고공 장면에서의 카메라 워크는 관객에게 실제로 매달려 있는 듯한 몰입감을 주었으며, 빠른 편집은 긴박감을 끊임없이 유지시켰다. 동시에 영화는 코미디적 리듬을 놓치지 않았다. 가족 잔치에서의 유머러스한 상황, 용남의 어설픈 몸짓, 의주의 냉정한 태도 등은 극의 긴장 속에서 웃음을 선사하며 장르적 균형을 이루었다. 음악은 경쾌함과 긴장감을 오가며 장면의 감정을 섬세하게 이끌었다.
주제와 사회적 메시지
엑시트는 단순한 재난 탈출극을 넘어, 한국 사회 청춘 세대의 현실을 은유한다. 용남은 능력은 있지만 사회적 시스템 속에서 인정받지 못한 청년으로, 그의 상황은 오늘날 많은 젊은이들의 좌절을 반영한다. 그러나 영화는 그가 위기 속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과정을 통해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의주는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라, 위기 속에서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인물로 그려지며 현대 여성의 주체적 이미지를 제시한다. 영화는 “평범한 사람도 위기 속에서 영웅이 될 수 있다”는 보편적 교훈을 남긴다. 동시에 공동체의 연대와 가족의 중요성, 그리고 좌절된 청춘의 재도약 가능성을 제시하며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엑시트의 성취와 유산
엑시트는 940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는 코미디와 재난이라는 두 장르를 결합한 영화가 한국 영화계에서도 충분히 흥행할 수 있음을 입증한 사례다. 영화는 신선한 설정과 배우들의 호연, 연출의 리듬감으로 관객을 사로잡았고, 해외에서도 긍정적 반응을 얻으며 리메이크 가능성이 논의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엑시트는 재난 상황 속 청춘 세대의 현실과 가능성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사회적 의미가 크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한국형 재난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동시에 청춘 코미디의 매력을 극대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웃음과 긴장, 공감과 희망을 모두 담아낸 엑시트는 한국 관객에게 오랫동안 기억될 작품이다.